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비닐우산, 비 오는 날 쓰고 어떻게 버리세요?
    환경 2025. 4. 15. 17:00

    비닐우산, 비 오는 날 쓰고 어떻게 버리세요?

     

     

    • 비닐우산, 그냥 버리면 재활용 안 된다네요
    • 철+플라+비닐 혼합이라네요
    • 우산도 분해해야 재활용 된다네요

     

    ① 비닐우산은 ‘혼합재질’이라 분리배출 어려운 품목이라네요

    우산은 단순한 플라스틱처럼 보이지만, 실제로는
    금속 + 플라스틱 손잡이 + 비닐 커버가 결합된 복합구조
    통째로는 재활용되지 않는다네요.

    ✅ 일반적인 비닐우산 구성

    • 살대(우산 뼈대): 철 혹은 알루미늄 금속
    • 손잡이: 플라스틱 or 고무재질
    • 덮개(우산천): 투명 PVC, PE 등 비닐류
    • 고정 부품: 나사, 플라스틱 단추 등

    이처럼 3개 이상의 다른 재질이 결합되어 있어
    별도로 분해하지 않으면 일반쓰레기로 분류된다네요.

    ✅ 환경부 공식 가이드에도
    혼합재질이 분해되지 않을 경우 일반쓰레기로 처리”한다고 명시되어 있다네요.
    즉, 비닐우산은 재활용 분리배출 대상이 아니라, 분해 후 각각의 재질로 나눠야 가능하다네요.


    ② 실무 현장에서는 비닐우산이 ‘수거 거부 품목’으로 분류되기 쉽다네요

    비닐우산을 아무 생각 없이 통째로 재활용함에 넣는 경우,
    선별장, 수거차량, 재활용센터에서 문제가 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한다네요.

    • 서울 강북구의 한 아파트 단지에선
      비닐우산을 플라스틱류 수거함에 무단 배출한 사례가 이어져
      수거업체가 “비닐우산 수거 거부 + 경고장 부착” 조치를 했다고 하네요.
    • 경기도 수원의 한 재활용센터에서는
      우산 뼈대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끼이면서
      기계가 멈추는 사고 + 추가 인건비 발생까지 이어졌다고 한다네요.

    ✅ 특히 우산의 금속살은 일반 재활용 설비에선 ‘이물질’로 분류돼
    전체 배출물의 품질 저하 + 회수율 감소로 연결된다네요.


    ③ 대응 전략: ‘3단계 분리배출’로 우산도 안전하게 처리 가능하다네요

    비닐우산도 아래 3단계만 기억하면 어렵지 않게 처리할 수 있다네요.


    ✅ 비닐우산 처리 3단계

    단계설명
    1단계 비닐 우산천 제거 – 가위로 절단하여 일반쓰레기로 배출
    2단계 살대 금속 부분 분리 – 알루미늄/철은 고철류로 분리배출 (지역에 따라 다름)
    3단계 손잡이 플라스틱 분리 – 플라스틱류로 배출 (단, 이물질 제거 필수)

    ✅ 만약 분해가 어렵거나 구조가 복잡하다면?
    우산 전체를 종량제 봉투에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원칙이라네요.

    ✅ 보너스 팁:

    • 대형마트, 구청, 동사무소 일부에서는 우산 회수함을 운영 중이라
      버리기 전 한 번 확인하면 좋다네요.

    ④ 버려지는 우산, 업사이클링 사례도 늘고 있다네요

    비닐우산은 잘만 활용하면 재사용 가치가 높은 품목이기도 하다네요.

    • 서울시 ‘새활용플라자’에서는
      고장난 비닐우산을 활용해 장바구니, 파우치, 레인코트 등으로 재활용하는
     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했고,
    • SNS에서는 ‘망가진 우산 천으로 만든 방수 가방’,
      살대로 만든 책꽂이’ 등 업사이클 아이디어가 공유되기도 한다네요.

    ✅ 하지만 업사이클링이 가능한 건 일부이고,
    대부분의 우산은 결국 폐기되기 때문에
    분해 후 재질별 배출이 기본 원칙이라네요.


    ✅ 마무리 한마디

    비오는 날 갑자기 사게 되는 비닐우산,
    다 쓰고 나면 그냥 플라스틱 쓰레기처럼 버리면 안 된다네요.

    이제부턴 우산을 버릴 때
    “우산천은 제거했나?”, “금속살은 따로 버렸나?”, “분리 가능할까?”
    한 번만 더 생각해보시면 환경도 지키고, 수거 민원도 줄일 수 있다네요 😊

Designed by Tistory.